- 원하는 객체의 머티리얼의 노드를 짜준다.(아래의 사진과 같이) 부모 머티리얼에서 위 키보드 숫자 1을 클릭 후 > 오른쪽 마우스 클릭 > 파라미터로 변환 > Utiling으로 이름 변경 > Default Value 값을 1로 변경텍스쳐 노드작성(normal, roughness, emissive는 그대로 넣어주고 Ao는 엠비언트오클루젼에 , Albedo는 베이스컬러에 넣어주면 된다ㅎㅎ )
- 부모 머티리얼에서 위 키보드 숫자 1을 클릭 후 > 오른쪽 마우스 클릭 > 파라미터로 변환 > Utiling으로 이름 변경 > Default Value 값을 1로 변경
- Ctrl+C , V 해주고 > 하나는 Vtiling으로 파라미터 이름 변경
TextureCoordinate > Multiply의 B지점과 이어주기 > 베이스 컬러의 TextureSample Uvs와 이어준다.
참고영상
UE4 How to Scale UV Coordinates through Parameters with Blueprints in Unreal Engine 4 Tutorial
'Study > Unreal_Engin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DRI 배경 설정방법 및 HDRI와 SkyAtmospherelight 같이 작성하는 방법 (0) | 2021.08.21 |
---|---|
건물 배경과 라이팅 , 밤 낮 같이 구현이 가능한 방법 (0) | 2021.08.21 |
인테리어 라이팅 공부 (0) | 2021.08.21 |
언리얼 엔진에서 스샷 찍는 방법 4가지 (0) | 2021.08.21 |
블루프린트 메시에 적용시키는 방법 (0) | 2021.07.22 |